은행에서 적금을 들다 보면 낮은 이자에.. 세금까지.. 이걸 들어야 할까? 청년들은 보지도 않을 겁니다. 하지만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적금 상품이 있다면 가입하시는 게 좋으시겠죠? 글 끝까지 읽어보시고 청년희망적금 가입조건, 받을 수 있는 대상, 신청방법 알아보시고 높은 이자 혜택 받아 보세요 :)
청년희망적금
사회초년생 또는 저소득 청년의 저축 장려 및 장기적, 안정적 자산관리행태 형성을 통해 취약한 경제기반을 보완하고 청년의 경제적 자립 역량 제고하기 위해 19~34세 청년들이 일정금액을 저축한 후 적금 만기 시 은행 이자에 더해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저축장려금을 추가로 지원하는 상품입니다.
위험한 보험 적금 상품도 아니고 5대 시중은행에서 진행하고 이자소득은 모두 비과세로 만기 시에는 세금 걱정 없이 전액을 받을 수 있는 최고의 적금입니다.
하지만 나의 상황에 맞춰서 가입하는 것을 추천합니다. 왜냐? 본인의 경제 사정이 저축을 할 여력이 안된다면.. 중도해지 상황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꼭 본인의 저축할 수 있는 금액을 확인 후 진행하는 걸 추천합니다.
지원대상
19~34세 청년 중에서 (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인정)
총 급여 3,600만 원(종합소득 2,600만 원) 이하
상품내용
월 최대 납입 50만 원(연간 총 600만 원)
2년 만기 자유적립식 적금
지원내용
은행 이자+비과세혜택+저축장려금
(납입금액에 대해 1년 차 2%, 2년 차 4%)
금리
최대 9.3% 상당
(출시은행별 상이 - 5%+a)
가입대상
아래 1~3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
- 신규 가입일 기준 19세 ~ 34세 이하(병역복무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)
- 총 급여 3,600만 원 이하(종합소득금액 2,600만 원 이하)
-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
만기금액
은행 이자+비과세혜택+저축장려금
기본금리는 5% 고정 은행별로 우대금리가 다르게 되어있어 은행 선택에 따라 수령 금액은 변경되실 수 있습니다. 우대금리 1% 은행을 선택해서 기본금리+우대금리 6% 적용했을 때 아래와 같이 수령하게 됩니다.
ex) 월 50만 원 적금 시
- 월 50만 원 + 장려금 36만 원 + 이자 75만 원 = 총 1,311만 원
ex) 월 40만 원 적금 시
- 월 40만 원 + 장려금 28만 8천 원 + 이자 60만 원 = 총 1,048만 8천 원
ex) 월 30만 원 적금 시
- 월 30만 원 + 장려금 21만 6천 원 + 이자 45만 원 = 총 786만 6천 원
ex) 월 20만 원 적금 시
- 월 20만 원 + 장려금 14만 4천 원 + 이자 30만 원 = 총 524만 4천 원
ex) 월 10만 원 적금 시
- 월 10만 원 + 장려금 7만 2천 원 + 이자 15만 원 = 총 262만 2천 원
중도 해지
나의 경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만기 시 받는 금액만 보고 가입을 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. 중도 해지 시에는 고정금리도 적용되지 않을뿐더러 비과세 혜택 및 정부 지원금도 받지 못합니다.
단 특별 중도해지 사유에 포함되면 장려금은 받을 수 있습니다.
특별 해지 사유
- 가입자의 사망
- 가입자의 해외 이주
- 사업장의 폐업
- 퇴직
- 3개월 이상 입원 또는 요양
- 6개월 이내 천재지변
위에 사유에 포함돼서 증빙서류를 제출하게 된다면 중도 해지를 하더라도 장려금은 받을 수 있습니다.
청년희망적금은 22년 2월에 출시해서 그때 가입하신 분들은 이제 곧 다가오는 24년 2월에 수령하게 되겠네요:) 한 번도 적금을 가입해서 못 받으신 분들은 목돈의 재미를 알 수 없습니다! 이번 기회에 좋은 적금 가입하고 목돈의 재미를 알아보셨으면 좋겠네요!!
'자산성장정보 > 정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패스 교통카트 신규 신청 발급하고 교통비 53% 환급받기 (1) | 2024.04.20 |
---|---|
2024년 주휴수당 조건, 계산법 ( 주휴수당 계산기 ) (3) | 2024.03.14 |
2024 청년도약계좌 총정리, 신청기간 가입조건 만기금액 (81) | 2024.01.30 |
[혁신형소상공인자금 신청안내] 2022년 10월 11일 부터 접수 (1) | 2022.10.07 |
[소공인특화자금 신청안내] 2022년 10월 11일 부터 접수 (3) | 2022.10.07 |